"김충섭 시장 당시 진행된 공사 중에 제대로 된 것이 있느냐"는 비판은 이제 지역사회 전반에 퍼진 공통된 인식이 되었고, 이는 결코 과장이 아니다. 실제로 공공시설물의 균열, 도로 포장 붕괴, 배수 불량, 누수 등은 김천 곳곳에서 목격되는 일상적인 풍경이 되어버렸다.
이쯤 되면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이 모든 부실의 배경에 무엇이 있었는가. 단순한 행정 착오인가, 아니면 조직적인 무책임과 비리의 결과인가.
최근 김충섭 전 시장 시절 일부 예산 집행이 ‘공금 유용’ 혐의로 수사선상에 올랐다는 소식은 결코 놀랍지 않다. 놀라운 것은 오히려 그동안 아무도 이런 상황을 철저히 파헤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도시의 기반을 책임지는 관급공사에 대해, 왜 이제야 문제제기가 되는가.
김천시는 몇 년간 시민의 혈세를 들여 각종 공공사업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그 결과물이 시민들에게 안심을 주기는커녕, 불안과 실망을 안겼다. 도로는 한여름 장맛비에도 주저앉고, 문화시설은 개관도 전에 보수공사를 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부실공사의 흔적은 곳곳에 널려 있다.
더욱이 일부 공사에는 특정 업체의 반복적인 수의계약, 특허공법이라는 이름 아래 통상보다 높은 단가의 집행이 확인되고 있다. 이쯤 되면 단순한 행정 미숙이 아니라 ‘작정하고’ 진행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올 수밖에 없다.
관급공사는 공금이 투입되는 대표적인 행정 행위다. 공금을 유용했다면, 그 과정에서 집행된 관급공사는 당연히 수사 대상이 되어야 한다. 시민이 매달 내는 세금, 그리고 빚까지 내며 추진된 사업들이 어떻게 관리되고 어떤 품질로 마무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지방자치의 기본이자, 행정에 대한 최소한의 신뢰 회복이다.
이제는 검찰과 감사당국이 나서야 한다.
김충섭 전 시장 재임 시절의 관급공사 전반에 대한 전수조사와 수사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행정의 실패는 시민의 안전과 직결된다. 무너진 시설, 위험한 도로, 언제든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이 현실을 방치한다면, 이는 단순히 전임 시장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현 체계 전체의 도덕적 실패다.
지금이 아니면 영영 기회는 오지 않는다.
무너진 신뢰를 복구하려면, 진실을 드러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