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칼럼·기고

언론의 탈을 쓴 청탁의 그림자, 지역사회를 병들게 한다

김천시민일보 기자 입력 2025.07.24 13:49 수정 2025.07.24 14:52

-일부 언론은 그 사명을 저버리고, 공익보다 ‘사익’을 쫓는 창구로 전락
-시민의 세금이 정당한 정보 전달이 아닌, 특정 언론사의 ‘수익 사업’에 쓰이는 일이 벌어지는 등의 문제

김천시를 출입하는 일부 언론사의 행태가 도를 넘고 있다. 본래 언론은 시민의 눈과 귀가 되어 권력과 예산 집행의 감시자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언론은 그 사명을 저버리고, 공익보다 ‘사익’을 쫓는 창구로 전락하고 있다.

 

“광고 좀 넣으시죠”, “홍보 예산 있잖아요”, “우리 기사 한 번 생각해보세요”라며 은근한 압박을 주고, 그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슬그머니 태도를 바꿔 ‘정보공개 청구’ 또는 ‘비방성 기사’로 보복성 공세를 가한다. 일부는 무분별한 기사화를 통해 특정 부서 공무원을 표적 삼아 조직 내 불화나 시민과의 오해를 유도하는 등 명백한 언론 횡포로 번지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들이 이런 식으로 예산을 확보하고, 각종 위탁사업이나 행사 진행까지 염두에 두며 자신들의 영향력을 확대하려 한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시민의 세금이 정당한 정보 전달이 아닌, 특정 언론사의 ‘수익 사업’에 쓰이는 일이 벌어지는 것이다. 이는 시민을 기만하고 지역사회를 병들게 하는 일이다.

 

사례를 보자

  • A 언론사는 특정 부서에 반복적으로 광고 협찬을 요구하다 무산되자, 해당 부서장의 과거 발언을 왜곡해 악의적으로 기사화하며 압박.

  • B 언론은 지역 축제 관련 대행사 선정에 입김을 넣으려다 실패하자, 공정성 문제를 부풀려 연속 보도하며 행정 신뢰도에 타격.

  • C 매체는 아예 정보공개 청구를 상습적으로 남발해 업무 부담을 초래하고, 이를 기사화해 부정적 여론을 유도함.

이러한 언론의 횡포는 공무원을 위축시키고, 행정의 공정성과 투명성마저 흐리게 만든다. 이는 시민의 알권리 보호가 아닌, 사적 목적을 위한 협박에 가깝다.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1. 공식 기록화와 대응 체계 구축
    광고·협찬 요구, 정보공개 요청, 기사 관련 외압 등이 있으면 모두 공문 또는 회의록 등으로 철저히 기록해 추후 감사 또는 법적 대응의 근거로 삼아야 한다.

  2. 정책적 기준 마련
    언론사와의 광고 및 협찬은 명확한 기준과 절차를 통해 공개적으로 집행되어야 하며, 특정 언론에 반복적으로 몰리는 구조를 막아야 한다.

  3. 건전한 언론과의 협력 강화
    공정하게 보도하며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언론과는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업을 이어가되, 악의적 보도를 일삼는 매체와는 원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4. 시민과의 소통 강화
    허위·왜곡 보도에 대해선 신속한 해명자료를 통해 사실을 바로잡고, 시민들이 언론의 속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한 정보 제공에 힘써야 한다.

 

언론은 감시자이지 협박자가 아니다. 언론은 공익의 수호자이지, 예산의 소비자가 아니다. 이제는 지역사회가 건강한 언론을 판별할 줄 아는 힘을 가져야 할 때다. 시민의 이름으로 요구하자.

 

“언론, 당신은 감시자인가? 청탁자인가?”

 




저작권자 김천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